
전라남도의회 장세일 의원(영광1, 더불어민주당)이 전남 미래 대표 산업으로 떠오른‘영광 e-모빌리티 사업 육성 지원’과 한빛원전 안전성 확보를 위한‘원전특별위원회 구성’을 주문하고 나섰다.
장 의원은 4일 열린 제325회 정례회 제1차 본회의 5분 발언을 통해 최근 정부의 지자체 혁신성장 투자 프로젝트로 선정돼 전남의 미래 대표 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는‘영광 e-모빌리티 사업’을 전라남도 차원에서 적극 지원해 줄 것을 제안했다.
장 의원은“국내 4차 산업의 선도적인 역할로 중소ㆍ중견기업을 육성함과 동시에 일자리 창출의 효과를 도모하는 미래 먹거리 사업을 전라남도 차원에서 적극 육성해야 한다”며, e-모빌리티 사업 지역혁신성장 특구 지정을 포함한 전남 대표 산업엑스포로 e-모빌리티 엑스포 육성, e-모빌리티 관련 기관 및 기업 지원을 제안했다.
실제 영광군은 지난 2012년부터 올해까지 779억원 규모의 e-모빌리티 산업 기반을 구축하고 있으며, 오는 10월‘2018 영광 국제스마트 e-모빌리티 엑스포’가 국내에서 최초로 영광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이어 장 의원은‘한빛원전 안전성 확보를 위한 원전특별위원회 구성’을 제안했다.
장 의원은“원전 규제기관인 원자력안전기술원과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제 역할을 못하고 있어 도민의 불안감이 극에 달하고 있다”며, “원전 안전관리 대책 점검 등 강력한 감시를 통해 도민의 안전을 지켜내기 위해 원자력안전위원회와는 별도로 전남도 차원의 원전특별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장 의원이 밝힌 자료에 따르면 한빛원전은 지난 10년 간 두 차례 방사능 누설사고가 발생했으며 원자로가 정지한 중요사고는 19건에 달하고 있다.
또한, 지난 2017년에 실시된 구조물 점검 결과 1호기부터 6호기까지 모든 구조물에서 공극(구멍)과 이물질 등이 발견된 바 있으며, 지난 8월 또다시 한빛 4호기에서 추가 공극이 발견돼 안전성 논란에 휘말렸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