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한 형식과 압도적인 규모의 조선왕실 공신 문서 「20공신회맹축」국보 지정 예고
완벽한 형식과 압도적인 규모의 조선왕실 공신 문서 「20공신회맹축」국보 지정 예고
  • 강정오
  • 승인 2021.01.07 17: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마지막 국새 부분
마지막 국새 부분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실물과 관련 기록이 완전히 남아 있고 25m에 달하는 큰 규모를 갖춘 조선왕실의 문서인 보물 제1513호「20공신회맹축-보사공신녹훈후」를 국보로,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 및 복장유물구미 대둔사 경장을 보물로 각각 지정 예고하였다.

또한, 문경 봉암사 마애여래좌상등 조선 시대 불교문화재 3건은 보물로 지정하였다.

20공신회맹축–보사공신녹훈후(二十功臣會盟軸-保社功臣錄勳後)(보물 1513, 2007.4.20. 지정)1680(숙종 6) 830일 열린 왕실의 의식인 회맹제(會盟祭, 임금이 공신들과 함께 천지신명에게 지내는 제사)’를 기념하기 위해 1694(숙종 20) 녹훈도감(復勳都監)에서 제작한 왕실 문서다.

종묘축제문

이 의식에는 왕실에서 나라에 큰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이름인 공신(功臣)’ 중 개국공신(開國功臣)부터 보사공신(保社功臣)에 이르는 역대 20종의 공신이 된 인물들과 그 자손들이 참석해 국왕에게 충성을 맹세하였다.

회맹제가 거행된 시기와 이 회맹축을 조성한 시기가 15년 정도의 차이가 나는 것은 숙종 재위 기간(16741720) 중 일어난 여러 정치적 변동 때문이었다.

당시 남인(南人)과 더불어 정치 중심세력 중 하나였던 서인(西人)1680년 경신환국(庚申換局)을 계기로 집권해 공신이 되었으나, 1689(숙종 15)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남인이 정권을 잡으면서 공신으로서 지위가 박탈되었다.

보물 제2109호 미륵원명 청동북-뒷면
보물 제2109호 미륵원명 청동북-뒷면

이후 서인은 1694(숙종 20) 갑술환국(甲戌換局)으로 다시 집권하면서 공신 지위를 회복하였고 이때 1~3까지 총 6(김만기, 김석주, 이입신, 남두북, 정원로, 박빈)에게 보사공신칭호가 내려졌다.

이번에 국보로 지정 예고된 회맹축은 숙종 연간 보사공신이 있기까지 공신으로 지위 부여(녹훈, 錄勳)와 박탈(삭훈, 削勳), 회복(복훈, 復勳)의 역사적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실물로서 오래 전부터 학계의 주목을 받아 왔다.

20공신회맹축-보사공신녹훈후」는 1680년 회맹제 거행 당시의 회맹문(會盟文, 종묘사직에 고하는 제문)과 보사공신을 비롯한 역대 공신들, 그 후손들을 포함해 489명의 명단을 기록한 회맹록(會盟錄), 종묘에 올리는 축문(祝文, 제사 때 신에게 축원하는 글)과 제문(祭文)으로 구성되었으며, 축의 말미에 제작 사유와 제작 연대를 적었고시명지보(施命之寶)라는 국새를 마지막으로 찍어 왕실 문서로서 완전한 형식을 갖추었다.

보물 제2108호 문경 봉암사 마애미륵여래좌상-정면
보물 제2108호 문경 봉암사 마애미륵여래좌상-정면

회맹축의 제목은 이십공신회맹축(二十功臣會盟軸)’이며, 조밀하게 짠 옅은 황비단 위에 붉은 선을 가로 세로로 치고 그 안에 단정한 글씨로 써내려갔다.

가로 약 25m에 달하는 긴 문서의 양 끝은 붉은색과 파란색 비단을 덧대고 위아래를 옥()으로 장식한 축으로 마무리해 왕에게 직접 보고하는 어람용(御覽用) 문서답게 매우 화려하면서도 정갈한 인상을 준다.

특히, 이 회맹축의 경우 어람용 회맹축의 제작 과정을 면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관련 기록인 『녹훈도감의궤(錄勳都監儀軌)』가 함께 전해져 의미를 더하고 있다.

예를 들어 긴 두루마리의 글씨는 서사관(書寫官)으로 발탁된 문신 이익신(李翊臣) 썼고, 화원 한후방(韓後邦)이 붉은 선을 그린 사실, 평안도에서 생산한 옥이나 상아, 비단과 같은 최고급 재료를 사용한 사실, 숙련된 기량을 지닌 장인을 차출하기 위한 논의과정 등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조선 시대에는 공신회맹제가 있을 때마다 어람용 회맹축을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지, 1910년까지 문헌을 통해 전래가 확인된 회맹축은 3건에 불과하다. 1646(인조 24)년과 1694(숙종 20) 제작된 회맹축, 1728(영조 4) 분무공신(奮武功臣) 녹훈 때의 회맹축이 그것이다.

이 중 영조 때 만들어진 이십공신회맹축의 실물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고, 1646년에 제작된 보물 제1512‘20공신회맹축-영국공신녹훈후’(二十功臣會盟軸-寧國功臣錄勳後)는 국새가 날인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어람용이자 형식상내용상 완전한 형태로 전래된 회맹축은 이 ‘20공신회맹축-보사공신녹훈후가 유일하다.

고성 옥천사 영산회 괘불도 및 함-괘불도

이 회맹축은 17세기 후반 숙종 대 경신환국, 기사환국, 갑술환국을 거치면서 서인과 남인의 정쟁으로 혼란스러웠던 정국을 수습하고 왕권을 강화하고자 당시 정치적 상황을 보여주는 사료로서도 역사‧학술 가치가 높을 뿐 아니라, 왕실유물 중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압도적인 크기로 제작되어 조선 후기 왕실 공예품의 백미(白眉)로서 예술성 또한 우수하므로 국보로 지정할 만한 가치가 충분하다.

한편, 새롭게 보물로 이번에 지정 예고된 「구미 대둔사 경장(龜尾 大芚寺 經欌)」은 1630(인조 8)에 조성된 경장(불교경전을 보관한 장), 조선 시대 불교 목공예품 중 명문을 통해 제작 시기가 명확하게 파악된 매우 희소한 사례다.

경장으로서는 국보 제328예천 용문사 대장전과 윤장대(醴泉 龍門寺 大藏殿과 輪藏臺)’을 제외하면 처음으로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 예고되는 것이다.

구미 대둔사 경장(향우측)
구미 대둔사 경장(향우측)

조선 후기 불교 목공예품으로 경장을 비롯해 목어(木魚), 불연(불연, 의식용 가마), 촛대, 업경대(業鏡臺, 생전에 지은 죄를 비추는 거울), 대좌(臺座, 불보살이 앉은 자리), 불단(佛壇) 등 다양한 종류가 제작되었으나, ‘구미 대둔사 경장처럼 제작 연대와 제작자를 알 수 있는 작품은 매우 드물다. 이러한 점에서 구미 대둔사 경장은 왼쪽 경장의 뒷면과 밑면에 제작 시기와 제작자, 용도 등을 두루 알려주는 기록이 남아 있어 조선 후기 목공예를 연구에 있어 중요한 기준이 된다.

전체적인 형태는 장식성이 강한 화려한 기법 보다는 단순하고 소박한 모습이며, 좌우 정면에 큰 연꽃과 모란을 배치해 조각과 회화적인 요소가 잘 어우러져 있다.

구미 대둔사 경장 내부에 그려진 불화
구미 대둔사 경장 내부에 그려진 불화

이 경장은 좌우 경장의 문짝 안쪽에 각각 2구씩 그려진 사천왕상을 배치해 원래부터 쌍으로 제작되어 대웅전의 불단 좌우에 놓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물론 일부 수리된 부분이 있지만, 제작 당시의 문양과 채색 기법을 상실하지 않고 대부분 간직하고 있어 17세기 채색기법 연구와 선묘불화(線描佛畵)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가 된다. 특히, 천왕도는 17세기 선묘불화의 유일한 사례로 주목된다.

명문을 통해 제작시기와 제작 장인을 명확히 알 수 있어 학술ㆍ공예사 면에서도 큰 의미가 있다. 아울러 규모가 크고 조형적으로 우수하여 조선 후기 불교목공예의 편년과 도상연구의 기준이 될 수 있으므로, 보물로 지정해 보존할 가치가 충분하다.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1776년)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1776년)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 및 복장유물(尙州 南長寺 靈山會 掛佛圖 및 腹藏遺物)은 높이 11m에 이르는 대형 불화 1폭과 각종 복장물을 넣은 복장낭(腹藏囊), 복장낭을 보관한 함을 포함한 복장유물로 구성되었다.

이처럼 불화와 함께 복장유물을 놓은 복장낭이 온전하게 일괄로 남아 있는 사례는 매우 드물다.

이 괘불도는 1776(정조 1) 조선 후기 대표적 수화승 유성(有誠)을 비롯한 경상도 지역에서 활약한 화승 23여명이 참여하여 제작한 18세기 후반기 불화의 기준이 되는 작품이다.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동경과 복장낭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동경과 복장낭

, 조선 1718세기 제작 괘불이 여러 번 보수를 거치는 동안 원래의 모습을 상실한 것과 달리 원형을 잘 간직하고 있다는 점은 이 괘불만의 독보적인 가치로 꼽을 수 있다.

화면 중앙에 압도적인 크기로 배치된 건장한 체구의 석가여래는 마치 앞으로 걸어 나오는 듯 다른 존상들보다 돋보이게 표현하였고, 옷 주름은 명암과 아기자기한 문양을 넣어 입체적이다.

좌우, 위아래에 배치된 보살과 사천왕, 용왕과 용녀 등의 모습 또한 권위적이지 않은 친근한 얼굴에 존격(尊格)에 따라 신체의 색을 달리 하여 강약을 조절한 점 등 작자의 재치와 개성을 발휘해 예술성이 높은 작품으로, 18세기 불교회화 연구에 중요한 참고가 된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지정 예고한「20공신회맹축-보사공신녹훈후」 등 3건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국보,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또한, 지정예고와 더불어 불교문화재 3건도 보물로 지정되었다. 보물 제2108「문경 봉암사 마애미륵여래좌상(聞慶 鳳巖寺 磨崖彌勒如來坐像) 1663(현종 4)제작된 마애불로서, 경북 봉암사 옥석대(백운대라고도 함)위치해 있다.

제작 시기와 주관자, 존상(尊像) 명칭은 풍계 명찰(楓溪 明察, 16401708)의 문집『풍계집(楓溪集)』에 수록된「환적당대사 행장(幻寂堂大師 行狀)」을 통해 확인된다. 명찰은 17세기 승려 환적당 의천(幻寂堂 義天)의 제자로, 이 책에 의천이 발원해 마애불을 조성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좌상은 높이가 539.6cm, 너비가 502.6cm 정도이며 머리 주변을 깊게 파서 광배 형상을 만들고, 위는 깊고 아래쪽으로 내려오면서 점차 얕은 부조(浮彫)로 처리됐다. 둥글고 갸름한 얼굴에 오뚝한 콧날, 부드러운 눈매, 단정히 다문 입 등이 자비롭고 인자한 인상을 풍긴다. 특히, 얼굴과 자세, 착의법 등 세부표현에서 <나주 죽림사 세존괘불탱>(1622), <구례 화엄사 영산회괘불탱>(1653) 과 같은 17세기 괘불(掛佛) 표현요소를 찾아 볼 수 있어 불화와 상관관계를 엿볼 수 있다.

이 불상의 수인(手印, 불보살을 상징하는 손모양)은 미륵불의 수인 중 하나인 용화수인(龍華手印)으로, 두 손으로 긴 다발형의 꽃가지를 쥐고 있는 모양이다. 1663년이라는 뚜렷한 제작연대를 염두에 둘 때 마애불 도상이 확인된 기준작으로 중요한 의의가 있다.

문헌을 통해 제작 시기와 제작 동기, 관자, 도상 등에 대해 고증이 가능한 몇 안 되는 마애불이라는 점, 조선 후기 마애불 연구뿐만 아니라 미륵불상의 도상 연구에 있어서도 절대적인 자료라는 점에서 역사‧학술 가치가 높다. 또한, 사실적인 조각수법과 당대 불화와 연관성이 있는 창의적 표현 등 예술적 가치가 높다고 평가되므로, 보물로 지정해 보존할 가치가 충분하다.

보물 제2109호「미륵원명 청동북(‘彌勒院銘 金鼓)」은 옆면에 오목새김(음각) 새긴 명문을 통해 1190(고려 명종 20) 미륵원(彌勒院)에 걸기 위해 제작한 금고(金鼓)임을 알 수 있다.

현존하는 청동북은 공명구의 위치와 형태에 따라 두 가지 형식으로 나누어지는데, 이중에서 「미륵원명 청동북」은 뒷면이 뚫려 있는 형식으로, 이를 반자(盤子, 飯子, 半子, 判子, 般子)라고도 한다.

3개의 뉴(, 손잡이)를 가진 전형적인 고려 시대 청동북으로, 안쪽에는 16개의 꽃잎을 가진 연꽃이 당좌(撞座)를 중심으로 배치되었다. 당좌 안에는 14개의 꽃 씨가 돋움새김(양각)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표면이 다소 마모되어 원래 금속 색이 드러나 보이기도 하지만, 얕게 도드라진 양각으로 표현된 연꽃잎들의 배치가 균형감 있게 잘 구성되어 있다.

미륵원명 청동북12세기 청동북 중에서 비교적 큰 크기의 대형 청동북이며, 문양의 조각 솜씨가 좋고 주조 기법 등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려시대 청동북의 제작 기법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확실한 제작 연대와 명칭, 발원자와 사찰명 등이 확인되는 귀중한 작품으로서, 보물로 지정하기에 충분하다.

보물 제2110호「고성 옥천사 영산회 괘불도 및 함(固城 玉泉寺 靈山會 掛佛圖 및 函)1808(순조 8) 수화승 평삼(評三)을 비롯해 18명의 화승들이 참여해 제작한 것으로, 20폭의 화폭을 붙여 높이 10m 이상 크기로 만든 대형불화다. 도상(圖像)석가여래 삼존과 아난존자와 가섭존자, 6존의 부처를 배치한 간결한 구성이다. 화기에 대영산회(大靈山會)’라는 화제가 있어 영산회 장면을 그린 사실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수화승 평삼은 40여 년간 활동한 이력에 비해 남아 있는 작품이 약 11점으로 많지 않지만, 옥천사 영산회 괘불도는 그가 본격적으로 수화승(首畵僧)이 되어 17명의 대단위 화승들과 합작해 제작한 대표작 중 하나이다.

날씬한 신체와 둥근 얼굴에 가늘게 묘사된 이목구비, 어린아이에 가까운 얼굴, 화려한 문양과 두터운 호분(胡粉)을 덧발라 입체감을 준 기법, 적색과 녹색, 청색과 흰색 등 다양한 색채를 조화롭게 사용한 점 등은 18세기 후반 괘불도 양식과 깊은 연관성을 보여준다.

전반적으로 18세기 전통 화풍을 계승하고 있는 가운데, 색감이나, 비례, 인물의 표현, 선묘 등은 19세기 전반기 화풍을 반영하고 있어 과도기적 양식을 보여주는 작품이므로, 불교회화사 연구에 의미가 큰 작품이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된 「문경 봉암사 마애여래좌상」 등 3건에 대해서는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적극적으로 협조해 체계적으로 보존‧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