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광화문 앞 해치상 원위치 찾기 연구 결과 발표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광화문 앞 해치상 원위치 찾기 연구 결과 발표
  • 강정오
  • 승인 2020.10.15 05: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독일인 헤르만 산더 소장사진_1906_1907년
독일인 헤르만 산더 소장사진_1906_1907년

문화재청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소장 유재은)는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 개발업체인 미국의 웨이퍼마스터스(대표 유우식)함께 광화문 해치상(獬豸像)의 원위치를 추정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디지털 이미지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해치상의 원래 위치를 복원해본 결과, 서편에 있는 해치는 현재 광화문 광장에 있는 해치상 표시석보다 동북방향으로 약 1.5m 떨어진 곳에 있고, 동편 해치는 해치상 표시석의 서북방향으로 약 1m 떨어져 있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래 해치상이 위치했던 장소는 현재는 도로와 광장으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원위치로 추정되는 곳에는 표시석만 세워져 있는 상태이다.

해치상은 본래 광화문의 월대(月臺) 앞 양쪽에 각각 세워져 있었으나 1920년대 일제의 조선총독부청사 건립 과정에서 광화문과 함께 철거되었다.

이후 광화문은 지금의 국립민속박물관 입구 쪽으로 옮겨졌고 해치상은 총독부 청사 앞으로 자리를 옮겨 놓이게 되었다.

그러다가 1995총독부 청사가 철거되고, 광화문도 현재 위치에 복원되면서 해치상도 지금의 위치에 자리하게 되었다.

지금까지 해치상의 원위치를 찾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자료의 한계로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1900년대 초반 촬영된 유리건판 사진 만이 대략적인 위치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실마리였다.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와 웨이퍼마스터스社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해석사진 측량기(Analytical Photogrammetry)을 활용한 디지털 이미지분석을 시도하였다.

과거의 유리건판 사진과 같은 구도로 현재의 광화문 일대를 사진 촬영하, 북악산과 광화문 등 사진에 나타난 피사체의 좌표를 위성항법시스템(GPS)으로 측량한 다음 현재사진과 과거사진을 합성하고 사진 상의 위치좌표를 분석하여 해치상의 원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을 썼다.

오차율을 가늠해 보기 위해 발굴이라는 비교적 정확한 근거를 토대로 복원되어 있는 실제 광화문과 이번에 이미지 분석을 통해 측량한 광화문의 좌표를 비교한 결과, 2.5%정도의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향후 프로그램과 측량 부분에서의 보완이 이루어진다면 더 개선된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중앙박물관 유리건판
중앙박물관 유리건판

이번 공동연구는 이미지 분석기법을 문화재 연구에 도입하여 그동안 밝히기 어려웠던 해치상의 원위치를 과학적 방법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비록 2.5% 정도의 오차율은 있지만 기술이 발전된다면 지금보다 더 정확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발굴에 앞서 기록물의 과학적인 분석을 통한 문화재의 원위치 추정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폭넓은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 것도 의미가 있다. 구결과는 추후 광화문 월대와 해치상 복원 구상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번 연구 성과는 오는 16일과 17일까지 대전 유성 인터시티호텔에서 온라인으로 개최되는 「문화재 보존과학 학술대회」에서도 발표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비대면 온라인 학술대회 누리집(www.conservation-live.co.kr)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해치상 원위치에 추정에 대한 디지털 이미지 분석결과
해치상 원위치에 추정에 대한 디지털 이미지 분석결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